2025년 7월 9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위원회는 ㈜비덴트(121800)에 대해 9개월의 개선기간을 부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곧바로 상장폐지 결정을 내리진 않았지만, 조건부 유예를 의미하며 기업의 전면적인 구조 개선을 요구하는 수순입니다.
비덴트는 그동안 ▲회계 투명성 문제 ▲자본잠식 우려 ▲지배구조 불안정성 등으로 인해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는 기업으로 분류됐습니다. 하지만 이번 결정은 즉시 퇴출보다는 개선 기회를 부여하겠다는 것이며, 거래소 입장에선 '마지막 경고'에 가깝습니다.
공식 공시에는 '매각'이라는 표현이 없지만, 실제 개선기간이 주어지는 사례에서 대주주 교체, 사업부 매각, 지분 정리 등 ‘구조조정’이 유일한 해결책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실질적으로는 ‘대주주 리스크를 해소하라’, '회사 구조 바꿔라’는 압박이기도 합니다.
개선기간 시작 | 2025년 7월 9일 |
개선기간 종료 | 2026년 4월 9일 |
개선이행보고서 제출 | 종료일로부터 15영업일 이내 |
최종 상장폐지 여부 심의 | 제출일로부터 20영업일 이내 |
거래소는 2026년 상반기 중에 비덴트의 상장폐지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비덴트는 앞서 ‘매각 협의 중’이라는 식의 공시를 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즉, ‘매각 추진 중’이라는 문구만 반복되고 실제 진전 내용은 전혀 공개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는 투자자 입장에서 다음 두 가지 가능성을 고민하게 만듭니다:
① 정말 물밑에서 협상을 하고 있지만 공개할 단계가 아닌 것
② 또는, 시간을 끌며 개선 의지 없이 상장폐지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
비덴트에 대한 시장의 불신은 이런 부분에서 시작됩니다:
매각한다더니 구체적 진전 無 | “말만 하고 실제로는 안 움직인다” |
공시 띄엄띄엄, 침묵 장기화 | “이거 상장폐지 가려고 일부러 질질 끄는 거 아냐?” |
개선계획 공시조차 모호 | “의지가 없어 보인다” |
지배구조 정리도 안 하잖아?
→ 결국 많은 소액주주가 느끼는 건:
“비덴트가 오히려 상장폐지를 유도하고 있는 것 같다”는 정서입니다.
현재 시점 기준으로 볼 때:
상장폐지 가능성 | 여전히 열려 있음 (개선기간 부여 상태) |
매각 추진 신뢰도 | 투명성 낮음, 구체성 부족 |
회사의 의지 | 공식적으론 "개선하겠다"지만, 실질적으로는 의심받는 상황 |
투자자 대응 | 상황 변화 없을 경우, 집단 민원 제기도 고려될 수 있음 |
과거 최대주주 | 버킷스튜디오 → 인바이오젠 → 비덴트 |
현재 | 상장폐지 사유 발생 후, 최대주주 변동 없이 불투명한 상태 |
문제점 | 과거 인바이오젠·버킷스튜디오와 서로 얽힌 순환출자 구조로 시장 신뢰 잃음 |
버킷스튜디오가 실질적으로 '정상 매각'된다면, 비덴트 회생에도 긍정적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비덴트의 상장유지 여부는 별도 기준에 따라 심사되므로, 매각만으로 자동 회복되진 않습니다
버킷스튜디오 ↔ 인바이오젠 ↔ 비덴트는 오랫동안 지분으로 얽힌 순환출자 구조였습니다.
한때는 비덴트가 버킷의 2대주주, 또는 반대로 얽혀 있는 구조였고,
이 3사 모두 강씨남매 혹은 그 연장선에 있었던 의혹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시장에서는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이 라인 중 하나라도 건전한 투자자에게 정상 매각되면,
그게 비덴트나 인바이오젠 등 나머지 기업에도 신뢰 회복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
🔹 이 경우:
비덴트와 인바이오젠까지도 연쇄 구조개선 가능성
→ 비덴트의 개선계획 설득력 증가 → 상장유지 가능성도 ↑
🔻 이 경우:
시장은 비덴트도 똑같은 시나리오로 보며 신뢰도 완전 붕괴
개선기간 끝나면 상장폐지 확률 매우 높음
→ 그래서 ‘둘 중 하나라도 정상화되면 나머지도 살 길 생긴다’는 기대가 나오는 겁니다.
버킷이 투명하고 실질적인 매각 성공 시 | 비덴트 개선계획 신뢰 ↑ → 상장유지 가능성↑ |
버킷 매각 무산 or 실체 없는 거래일 경우 | 비덴트도 동일하게 신뢰 잃고 상폐 가능성↑ |
이 표현은 버킷스튜디오·인바이오젠·비덴트 등
이른바 ‘빗썸 관련 기업’들의 지배구조 배후로 거론되던 인물들 중
강종현(오빠)와 강지연(여동생),
즉 실제 남매 계인 인물 두 명을 묶어서 부르는 일종의 별칭입니다.
실질적 영향력 | 세 기업의 실소유주 또는 영향력 행사자로 수년간 금융권·증권가에서 추정 |
명의 신탁 의혹 | 지분을 다른 사람 명의로 보유하고, 실질 지배는 강씨 남매가 한다는 의혹 |
즉, 매각 시 매력 포인트로 부각 가능한 핵심 자산입니다.
오징어게임 IP 권리구조 | 넷플릭스가 대부분의 배급·수익권을 보유한 구조로 알려짐 → 버킷의 실수익은 제한적일 수 있음 |
버킷의 재무 상태 | 수익창출력 약함, 자본잠식률·부채비율·흑자전환 가능성 여부가 인수 판단 핵심 |
경영권 | 과거 반복된 최대주주 변경과 명의신탁 의혹 등으로 지배구조 리스크가 큼 |
투자자 불신 | 잦은 공시, 실제 이행 없음 → “말만 매각이고 실제는 질질 끌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 여전 |
오징어게임3 덕분에 매각될 가능성? | 분명한 매각 유인 요인입니다. 흥행 보장된 글로벌 IP라서 매력도 높습니다. |
하지만 바로 될까요? | IP 수익권 구조 + 내부 지배 리스크 해소 여부가 선결 조건입니다. |
비덴트한테도 긍정적일까요? | 네. 버킷이 정상화되면 비덴트도 구조개선 기대감이 생기고, 상폐 리스크에 긍정 작용 가능성 있습니다. |
가 실제 매각 의지가 있는지, 아니면 버킷스튜디오 매각 성사 이후 상황을 지켜보며 시간을 벌고 있는지를 의심할 수 있는 핵심적인 투자자 시각입니다.
→ 시장에서는 “시간 끌기용 공시”로 인식
→ 비덴트도 ‘정리 타이밍’을 잡을 수 있음
🔹 따라서 버킷 매각이 성공하면:
새로운 투자자가 비덴트까지 한꺼번에 구조조정하거나
버킷에서 발생한 수익이나 명분으로 비덴트의 매각 명분을 만들 수 있음
→ 즉, 공시만 해두고 버티는 전략일 가능성도 있음
→ 버킷 매각이 성사되면 "우리는 연계돼 있다"며 매수자 설득 시도 가능
매각 의지 없음 | “매각 공시만 하고 아무 진전 없음” |
버킷에 기대 중 | “버킷이라도 팔리면 분위기 탈 수 있다는 전략” |
결국 상폐 노림수? | “구조조정 의지보다는 정리매매나 청산 수순 밟는 중?” |
비덴트가 매각 의지 있나? | 공시했지만 구체적 행보 전무, 의심 커짐 |
버킷 매각이 비덴트에 영향 줄까? | 직접 지분 관계는 없지만, 시장은 연동 판단 |
비덴트가 버킷 매각 기다리는 것인가? | 가능성 매우 높음. 연계 매각 전략 혹은 명분 확보용 지연으로 보임 |
에이엔피 주가 상한가! 공시 없이 급등한 이유는? 투자자들이 주목한 포인트 (15) | 2025.07.10 |
---|---|
스테이블코인 대장주’ NHN KCP, 증권가 분석에 52주 신고가 돌파!” (19) | 2025.07.09 |
SGA, 상한가 비상! 무슨 일일까?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6) | 2025.07.09 |
자사주 소각 의무 기대…부국증권 29.9% 급등 이유와 주가 전망 (18) | 2025.07.09 |
비케이홀딩스, 상한가 비상! 과연 이유는?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은? (17)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