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축하드려요! 비상장 주식 상장, 이제 뭘 준비해야 할까요?

멋찐여우 2025. 6. 8. 02:34
728x90
반응형

오랫동안 기다려온 비상장 주식의 상장 소식, 정말 축하드립니다! 상장은 주식 가치를 높이고 거래를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좋은 기회이지만, 상장 전후로 주주로서 알아두고 준비해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지금부터 꼼꼼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내 주식, 어떤 종류인가요? (통일주권 vs. 비통일주권)

  • 통일주권: 대부분 상장 준비 중인 회사는 주식을 증권예탁결제원에 예탁하고, 주주들은 증권사 계좌를 통해 주식을 관리하게 됩니다. 이걸 '통일주권'이라고 불러요. 통일주권이라면 상장 후 증권사 앱에서 바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 비통일주권: 아직 실물 주권으로 가지고 있거나, 회사 주주명부에만 이름이 올라가 있는 경우를 '비통일주권'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상장 전에 꼭! 증권사 계좌로 주식을 옮겨야 거래가 가능합니다.
    • 준비: 회사에 '명의개서'를 요청해서 본인이 주주명부에 제대로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실물 주권이 있다면 증권사에 제출하는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상장 직전에는 주권이 증권예탁결제원에 예탁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미리 증권사 계좌로 옮겨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2. 혹시 '보호예수' 기간인가요?

  • 상장 시에는 기존 대주주나 기관 투자자, 그리고 일부 기존 주주들의 주식을 일정 기간 동안 팔지 못하도록 묶어두는 '보호예수(Lock-up)'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는 상장 직후 주가가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입니다.
  • 본인이 가진 주식에 보호예수 기간이 적용되는지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보호예수가 걸려있다면, 정해진 기간 동안은 주식을 팔 수 없어요.

3. 상장 일정과 공모가, 어디서 확인하죠?

  • 상장 예정인 회사는 한국거래소의 심사를 통과하고, 일반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판매하는 공모 절차를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회사는 증권신고서를 작성하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개하니, 꾸준히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증권신고서에는 회사의 재무 상태, 사업 계획, 공모가 등 중요한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특히 공모가는 상장 후 주가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꼭 확인해야 합니다.

4. 이제 주식 거래,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증권사 계좌 확인: 상장 전에 주식을 넣어둔 증권사 계좌로 주식이 제대로 들어왔는지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합니다.
  • 주식 앱 사용법 익히기: 상장 후에는 일반 상장 주식처럼 증권사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고 팔 수 있습니다. 미리 증권사 앱 사용법을 익혀두면 편리합니다.
  • 주가 변동성 주의: 상장 초기에는 주가가 크게 오르내릴 수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상승을 기대하기보다는 회사의 가치, 시장 상황 등을 꼼꼼히 분석하고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세금 문제, 미리 알아둬야 할까요?

  • 양도소득세: 비상장 주식을 팔 때는 양도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하지만, 상장 후에는 소액 주주의 경우 양도소득세가 면제됩니다 (증권거래세는 부과).
  • 증권거래세: 상장 후 주식을 팔 때는 증권거래세(0.18%)가 부과됩니다.
  • 세금 문제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 큰 금액이라면 상장 전후로 세무사와 상담하여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핵심 요약

비상장 주식 상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 주식이 상장 후 바로 거래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증권사 계좌로 옮기는 절차를 미리 완료하는 것입니다. 또한, 상장 후 주가 변동성에 대비하고, 관련 세금 문제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현명한 투자자가 되는 길입니다.

 

 

728x90
반응형